소자에는 수동소자와 능동소자가 있다.
수동소자(passive element, passive component)는 공급된 전력을 소비·축적·방출하는 소자로, 증폭 정류 등의 능동적 기능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수동소자에는 RLC 등이 있으며, 출력을 예측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식이 정해져있기 때문이다.(기본적으로 선형적인 동작을 함)
저항, 인덕터(코일), 커패시턴스(콘덴서) 등이 있다.
능동소자(active element, active component) 작은 신호(전력, 전압, 전류 중 하나)를 넣어 큰 출력 신호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부품 소자이다. 입력과 출력의 비율로 이득을 얻는다.
능동소자는 올라가는 소프트웨어의 영향을 받아 출력의 예측을 하기 어렵다.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B%8A%A5%EB%8F%99%EC%86%8C%EC%9E%90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B%8F%99%EC%86%8C%EC%9E%90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AyJY&articleno=17344571&_bloghome_menu=recenttext
'임베디드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AG (0) | 2018.01.02 |
---|---|
개념 정리 목록 (0) | 2018.01.02 |
PWM이란 (0) | 2017.11.24 |
레귤레이터(Regulator) (0) | 2017.10.25 |
전압, 전류, 저항 (0) | 201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