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에서 사용자에게 권한 요청을 거부당한 후, 다시 요청했을 때 [화면 오버레이가 감지됨] 이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권한 설정도 되지 않았다.


이는 권한을 허가하지 않았을 때 앱의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Toast와 권한 요청 다이얼로그가 동시에 띄어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다. 


이 둘의 호출  시점을 조정해주니 문제가 해결되었다.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5453759/android-screen-overlay-detected-message-if-user-is-trying-to-grant-a-permissio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AG_ACTIVITY_NEW_TASK  (0) 2017.11.23
안드로이드 Intent, Task  (0) 2017.11.22
마시멜로우 블루투스 스캔  (0) 2017.11.09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유용한 단축키 모음  (0) 2016.09.23
안드로이드 LinearLayout  (0) 2016.06.29
블로그 이미지

NCookie

,

안드로이드 버전 6.0 마시멜로우(API 23)부터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스캔으로 근처의 기기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앱에 ACCESS_FINE_LOCATION 또는 ACCESS_COARSE_LOCATION 권한이 있어야한다.


안드로이드 공식


https://developer.android.com/about/versions/marshmallow/android-6.0-changes.html#behavior-hardware-id



사용자의 버전에 따라 권한 부여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052811/since-marshmallow-update-bluetooth-discovery-using-bluetoothadapter-getdefaultad

블로그 이미지

NCookie

,

RF란

위성안테나 2017. 10. 25. 02:10

RF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찾아보고 정리해보았다.

RF

  • RF == 무선(Wireless)
  • 안테나를 포함한 무선 주파수 송수신부를 통틀어 RF라고 함

전파(Electromagnetic Wave)

  • 전자기적 파동(전자기파)에 의해 정보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음
  • 공기 혹은 부도체를 매질로 전자기적 파동이 전해지는 현상을 이용
  • Maxwell, Herz, Marconi 등이 있음(기여 인물)
  • 안테나는 유선상의 교류 신호(AC)를 전자기파 간의 변환을 하는 역할임

고주파(High Frequency)

  1. 특징
    • 주파수가 높으면 파장이 짧아지고, 그 때문에 선로 간의 간섭도 심해지며 선로 길이 하나하나가 회로소자로 동작해 버리며 설계가 까다로워짐
    • 이러한 점 때문에 RF에는 제작 후에 특성을 조율하는 ‘튜닝’이 필수적이게 됨
  2. 장점
    • 회로나 시스템 자체를 만들기가 어렵긴 하지만,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점을 이용하여 안테나나 회로를 좀더 작게 만들 수 있음
    • 시스템을 작게 만들기 위해 고주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 고주파에서는 어쩔 수 없이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
  3. 사용하는 이유
    • 대기 중에는 모든 주파수의 신호가 존재할 수 있지만, 한 주파수에는 하나의 신호만 존재해야 통신이 가능함
    • 대부분 겹치기 때문에 음성/데이터가 원본주파수 상태 그대로 통신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움
    • 때문에 고주파 RF(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승인되어 할당 받음) 신호에 실어나름
    • 잡음에 강해지고 여러 가지 에러복구 수단을 적용할 수 있게 됨
    • 위와 같이 번거로운 일을 하는 것은 통신 방식과 서비스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

주파수(Frequency)

  • 모든 신호는 주기적 교류 파형 형태를 가지며, 일정한 sin 파형을 정해진 룰로 왜곡시켜 원하는 데이터를 전달함
  • T : 신호의 주기(period)
  • λ : 파장(Wavelength), T * c
  • c : 빛의 속도(3 * 10^6 m/s)
  • f(주파수) : T의 역수, 1초 동안 몇 번동안 진동하는지.
  • 주파수가 커짐(주기는 작아짐)에 따라 파장은 짧아짐

Microwave

  • 300 MHz - 300 GHz 무선주파수 대역을 총칭
  • Micro는 파장이 매우 작아진다는 의미임
  • Microwave 주파수 대역은 범위에 따라 여러 가지 band 명칭이 있음

Millimeter wave

  • Millimeter wave 는 파장이 mm 단위인 주파수를 말함
  • 일반적으로 10GHz 후반이나 20GHz 또한 포함됨
  • 설계 방법, 접근 방법, 및 측정 방법도 비슷해지기 때문임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1. 개념
    • 실제 통신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저주파 베이스밴드와 고주파 RF(Radio Frequency) 간 변환할 때 사용되는 중간 단계의 주파수
    • 이런 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슈퍼 헤테로다인(Super-Heterodyne) 방식이라고 함
  2. 중간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유
    •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수신부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신호만 골라내기 위해서는 필터링(Bandpass Filtering)을 해야함
    • 고주파에서 직접 필터링을 할 수 있는 장비는 비쌈
    • 때문에 수신부에서는 이를 Down Conversion 하여 중간 주파수를 만들어 필터링함(추가 설명 필요)
  3. LNB의 mixer를 이용하여 고주파 RF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킬 수 있음

참고

  • http://www.rfdh.com/bas_rf/begin/whatisrf.php3
  • http://guslabview.tistory.com/134


블로그 이미지

NCookie

,

전압을 변환해주는 전자부품이다.


보통 스위칭 레귤러레이터(DC/DC switching reg)와 리니어 레귤러레이터(LDO)로 구분된다.



스위칭 레귤러레이터


전기가 들어오면(Vin) 원하는 출력 전압(Vout)이 될 때까지 스위치를 매우 빠르게 On/Off 한다.


스위칭 동작


스위치를 ON/OFF하는 주기에 따라 전압의 평균이 달라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전압으로 변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코일에서 줄여준다.


참고로 스위칭 레귤러레이터는 스위칭 소자뿐만이 아니라 주위의 코일, 콘덴서 등을 포함한다.


(콘덴서는 고주파만 통과시키지만, 코일은 저주파만 통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DC/DC switching reg에는 FB(feedback)이 있기도 한다.


코일을 거쳐 노이즈를 줄인 전력을 다시 reg로 가져와 정해진 출력전압이 맞는지 확인한다.


아니라면 내부적으로 올바른 출력 전압이 되도록 조정한다. 이 과정을 피드백이라고 한다.



리니어 레귤러에이터


입력과 출력이 선형적이다.


노이즈가 거의 없다.


전압을 변환하면서 열이 발생한다. (에너지 보존 법칙)


입력과 출력의 전압차가 크면 발열이 심해지고 효율이 좋지 않다.


그래서 스위칭 레귤러리에터로 전압을 줄이고 리니어 레귤러레이터로 원하는 전압으로 출력을 조절하기도 한다.



참고


http://www.rohm.co.kr/web/korea/dcdc_what4


http://www.rohm.co.kr/web/korea/dcdc_what5

'임베디드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AG  (0) 2018.01.02
개념 정리 목록  (0) 2018.01.02
PWM이란  (0) 2017.11.24
수동소자, 능동소자  (0) 2017.10.25
전압, 전류, 저항  (0) 2017.10.25
블로그 이미지

NCookie

,

소자에는 수동소자와 능동소자가 있다.


수동소자(passive element, passive component)는 공급된 전력을 소비·축적·방출하는 소자로, 증폭 정류 등의 능동적 기능을 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수동소자에는 RLC 등이 있으며, 출력을 예측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식이 정해져있기 때문이다.(기본적으로 선형적인 동작을 함)


저항, 인덕터(코일), 커패시턴스(콘덴서) 등이 있다.



능동소자(active element, active component) 작은 신호(전력전압전류 중 하나)를 넣어 큰 출력 신호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자 부품 소자이다. 입력과 출력의 비율로 이득을 얻는다.


능동소자는 올라가는 소프트웨어의 영향을 받아 출력의 예측을 하기 어렵다.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B%8A%A5%EB%8F%99%EC%86%8C%EC%9E%90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B%8F%99%EC%86%8C%EC%9E%90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AyJY&articleno=17344571&_bloghome_menu=recenttext

'임베디드 >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JTAG  (0) 2018.01.02
개념 정리 목록  (0) 2018.01.02
PWM이란  (0) 2017.11.24
레귤레이터(Regulator)  (0) 2017.10.25
전압, 전류, 저항  (0) 2017.10.25
블로그 이미지

NCookie

,